생활 및 심리 상담Re: 초2아이 게임에 빠진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초등학교 2학년 아이가 부모님과의 약속을 어기고 가족들이 잠들기를 기다리거나 일찍 일어나서 부모님을 속이고 게임을 하는 모습이 걱정이 많이 되셨을 거 같습니다. 그런 아이의 모습이 부모님께서 걱정하시는 만큼 문제가 있어 보이지는 않는다는 말씀을 먼저 드리고 싶어요. 이번 기회에 두 가지를 생각해보셨으면 하는데요 첫째는 그토록 게임을 하고 싶어 하는 아이의 마음과 두 번째는 게임을 어디까지 허용할 것 인가입니다.

 

우선 부모님을 속이는 모습이 큰 문제처럼 다가오겠지만 다르게 보면 자신이 원하는 걸 쉽게 포기하지 않고 어떻게든 그걸 해내는 모습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부모의 명령에 무조건 복종하는 게 좋은 모습은 아닙니다. 그래서 아이의 욕구를 누르기보다는 수용하는 방향으로 생각해보셨으면 합니다. 게임 시간이 주말에 30분이라고 하셨는데, 그렇게 정하는 과정에서 아이의 의견이 얼마나 반영되었는지 궁금합니다. 부모님께서 허락한 시간이 아이에게 부족하다면 조절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기질에 따라 순응형인 아이도 있지만 어려도 주도성이 강한 아이도 있습니다. 부모님께서도 권위자의 일방적인 지시를 납득 할 수 없을 때 반발심이 생기고, 내가 합의 과정에 참여한 약속에는 책임감을 가지 게 되는 경험을 해보셨을 겁니다. 게임 시간을 정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의견이 존중받는 경험을 한다면 부모님을 속이는 방법을 선택하지는 않을 거라 생각합니다.

 

저도 게임에 관심이 없고 아이가 되도록 안 하길 바라지만 그렇다고 해서 못 하게 막을 수는 없더라고요. 그만큼 게임이 아이들의 놀이 방법 중 하나로 자리를 잡은 것이 현실인 거 같습니다. 초등학교 5학년인 저희 아이도 친구들에게 게임 이야기를 듣고는 하고 싶어해서 하루에 30분을 게임 시간으로 정했었지요. 그런데 30분이라는 시간이 한창 재미있을 때 끝나는 모양이에요. 게임 시간을 더 늘려달라고 하더라고요. 게임에 빠지는 정도가 심해져서 주중에는 하지 않고, 주말에만 시간을 늘리는 조건으로 규칙을 바꾸었어요. 이 과정에서 아이도 게임에 대한 자신의 욕구가 지나치다는 걸 인지하고 동의를 했구요. 그렇게 해보니 주말에는 외출할 일도 생기고 게임 외에도 다른 재미있는 활동을 할 수 있으니 우려했던것보다 게임 시간이 그리 길지 않더라고요. 아이와 합의해 같은 게임 시간을 허락할 경우라도 매일 30분씩 게임에 노출되는 것보다는 주중에는 하지 않고 주말에 1시간 30분 하는 것으로 허용하는 것이 더 낫다고 해요. 아이 입장에서도 큰 보상에 참을 수 있고 빈번한 노출을 줄여 중독 위험이 덜하다는 전문가 견해도 있으니 참조하시되 아이마다 다를 수 있으니 맞는 방법을 찾아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무엇보다 게임이 그토록 하고 싶은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고 들어주면서 게임에 대한 부모님의 걱정도 찬찬히 들려주세요. 서로 합의해서 사용 규칙을 정한다면 아이도 몰래 잠까지 못 자면서 게임을 하진 않을 거에요. 잘 자는 것은 아이 건강에 중요하니 밤 시간에는 핸드폰을 잠그거나 통신사마다 유무료로 관리하는 서비스가 있다하니 활용하시어 밤에는 게임 하지 않도록 신경써주세요.

 

게임을 어떻게 다룰지는 개인의 의지 문제라기보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이들이 안고가야 하는 시대적 현상인 거 같습니다. 요즘에는 게임을 즐긴 경험이 있는 부모님들의 경우 게임을 아이와 함께 할 수 있는 놀이로 여기고 함께 하기도 하더군요. 그러니 너무 걱정 마시고 아이가 좋아하는 게임이 어떤 것인지 관심도 가져보시되 즐겁게 할 수 있는 활동이 게임밖에 없는 상황이 되지 않도록 다양한 여가 활동을 접할 기회를 주는 것도 중요하다는 걸 꼭 기억하시길 바랍니다.

 

★ 상담넷 이용 만족도 조사

다시한번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온라인 상담소를 이용해주심에 감사합니다.

아이 하나를 키우기 위해서는 마을 하나가 필요하다고 하지요. 아이를 키운다는 것은 하나의 큰 우주를 만나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함께 고민과 걱정을 나누고 서로를 격려하고 위로하며 울타리가 되어 주는 것이 필요한 시대입니다.

더 성장하고 성숙한 상담넷이 되기 위해 조언 부탁드립니다.

https://forms.gle/pN8Ng7MFR4cE383y5

0

사단법인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이사장: 송인수 ㅣ 공동대표: 신소영 나성훈

사업자번호: 356-82-00194

대표전화: 02-797-4044 ㅣ 이메일: noworry@noworry.kr

주소: 04382 서울시 용산구 한강대로 62길 23 유진빌딩 4층


후원: 우리은행 1005-103-398109 

(예금주: 사단법인 사교육걱정없는세상) 


Copyright 2025. 사단법인사교육걱정없는세상 All Right Reserved.


사단법인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이사장: 송인수 ㅣ 공동대표: 신소영 나성훈 ㅣ 사업자번호: 356-82-00194

대표전화: 02-797-4044 ㅣ 이메일: noworry@noworry.kr

주소: 04382 서울시 용산구 한강대로 62길 23 유진빌딩 4층

후원: 우리은행 1005-103-398109 (예금주: 사단법인 사교육걱정없는세상) 

Copyright 2025. 사단법인사교육걱정없는세상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