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답변이 늦어 죄송해요.
써주신 글을 여러번 읽었습니다. 아이가 공부 욕심도 있고, 이제껏 부모님의 교육관에 따라 최소한의 사교육으로 잘 해왔네요. 아이가 비평준 고등학교로 진학해 잘하는 아이들과 경쟁하는 상황이 되고, 원하는 등급이 안나와 마음고생이 클듯합니다. 나름대로 열심히 했는데도 원하는 등급이 안나오면 좋은 과외등의 사교육이라도 받았음 하는 마음이 커지겠지요. 아이의 요구에 어머님은 또 얼마나 당황스럽고 속상함이 커질지 그 마음이 저에게도 전해지네요.
문의에 대한 답변을 드리기 전에 어머님께서 지금까지 교육에 대한 중심을 잡으며 긴 안목으로 아이와 공교육을 믿고 지켜보셨구나 싶어요. 그 과정 안에서 아이 스스로 학업동기를 가질 수 있었겠다 싶어 자부심 느끼셔도 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적어도 따님은 본인에게 필요한 부분에 대해 쉽게 선택하고 판단하기보다 여러 가지 요소를 함께 감안하여 결정하리란 생각이 들어요.
내신에서의 수학등급 올리기는 쉽지 않아요. 특히 잘한다는 아이들이 모인 학교에서는 더욱 어렵겠지요. 고등학교로 진학하면 당장 수학의 내용에서나 시험 문제의 성격 등이 중학교와는 확연하게 다르지요. 또한 성취평가제를 적용하는 중학교에서는 절대적인 기준만 넘으면 A를 받을 수 있지만 상대평가를 겸하고 있는 고등학교에서는 등급과 석차가 짓누르는 압박이 있으니 중간고사 성적에 많이 좌절하기도 하고 정신적 고통이 중학교와는 비교가 안될거예요.
고등학교 수학 성적은 중학교까지의 공부 상태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아요. 중학교까지의 수학 개념, 즉 교과서에 나와 있는 수학 개념의 정의와 성질, 법칙, 정리 등을 완벽하게 소화하지 못하면 고등학교 공부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어요.
원하는 성적이 안 나오면 당장 과외나 사교육을 생각할 수 있어요. 그러니 따님의 마음을 인정하고 공감해주셨음 해요.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사교육을 이용하는가 아닌가란 이분법이 아니예요. 사교육의 이용 여부와 상관없이 중학교까지의 개념정리가 제대로 되어 있는가가 중요한 것이지요. 중학교까지의 개념 정리가 부족한 상태에서는 사교육을 이용한다 해도 큰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만약 중학교까지의 수학 개념 정리가 잘되어 있다면 코로나 등으로 정규 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중간고사에서 일시적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으니 기말고사를 위한 준비를 좀 더 철저히 해서 대비한다면 회복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어요.
기말고사 준비를 철저히 한다는 것은 무엇인지 궁금하실거예요.
무엇보다 중간고사에서 아이 스스로 본인이 어떤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먼저겠지요. 제대로 풀어서 맞은것인지 얼추 맞힌것인지는 아이 본인만 알 수 있어요. 틀린 문제는 왜 틀렸는지 스스로 설명해보는 시간이 필요하겠지요. 개념을 몰라서? 이렇게 적용할 수 있는지 생각을 못해서? 식을 못 세워서? 등등 한 문제를 풀더라도 내가 제대로 알고 풀었는지를 파악하고, 틀렸다면 어디 부분에서 어렵고 이해가 안 되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해요. 시간이 없다는 마음에 많은 문제를 풀어내서 메꿔보겠다는 생각으로는 제자리돌기만 할 수 있어요.
사교육을 이용하든 안하든 기본을 튼튼하게 다져나간다는 생각으로 공부를 해야 해요. 사교육을 이용하더라도 사교육에 의지하기보다 내가 활용하고 이용한다는 생각으로 주도성을 가져야지요. 또 주변 아이들과 나를 비교하다보면 페이스를 잃기 쉬워요. 어제의 나와 오늘의 나를 비교하면서 나에게 맞는 학습법도 찾아가며 느리더라도 꾸준히 하는 것이 제대로 공부하는 지름길이 되겠지요.
어머님의 교육관과 다르게 아이가 일관성 있게 사교육의 도움을 받겠다 한다면 아이가 사교육을 필요로 하는 이유를 확인해보시고 토의하면서 서로의 의견을 조정해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학부모로서 어머님의 여러 감정과 혼란스러움이 충분히 공감되었어요.
자기 의지가 있는 아이라면 어렵더라도 목표한 바를 성취하는 과정에서 많은 것을 배우리라 생각합니다.
단체에서도 쉼 없이 노력하겠습니다.
★ 상담넷 이용 만족도 조사
다시한번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온라인 상담소를 이용해주심에 감사합니다.
아이 하나를 키우기 위해서는 마을 하나가 필요하다고 하지요. 아이를 키운다는 것은 하나의 큰 우주를 만나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함께 고민과 걱정을 나누고 서로를 격려하고 위로하며 울타리가 되어 주는 것이 필요한 시대입니다. 더 성장하고 성숙한 상담넷이 되기 위해 조언 부탁드립니다.
https://forms.gle/pN8Ng7MFR4cE383y5
안녕하세요.
답변이 늦어 죄송해요.
써주신 글을 여러번 읽었습니다. 아이가 공부 욕심도 있고, 이제껏 부모님의 교육관에 따라 최소한의 사교육으로 잘 해왔네요. 아이가 비평준 고등학교로 진학해 잘하는 아이들과 경쟁하는 상황이 되고, 원하는 등급이 안나와 마음고생이 클듯합니다. 나름대로 열심히 했는데도 원하는 등급이 안나오면 좋은 과외등의 사교육이라도 받았음 하는 마음이 커지겠지요. 아이의 요구에 어머님은 또 얼마나 당황스럽고 속상함이 커질지 그 마음이 저에게도 전해지네요.
문의에 대한 답변을 드리기 전에 어머님께서 지금까지 교육에 대한 중심을 잡으며 긴 안목으로 아이와 공교육을 믿고 지켜보셨구나 싶어요. 그 과정 안에서 아이 스스로 학업동기를 가질 수 있었겠다 싶어 자부심 느끼셔도 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적어도 따님은 본인에게 필요한 부분에 대해 쉽게 선택하고 판단하기보다 여러 가지 요소를 함께 감안하여 결정하리란 생각이 들어요.
내신에서의 수학등급 올리기는 쉽지 않아요. 특히 잘한다는 아이들이 모인 학교에서는 더욱 어렵겠지요. 고등학교로 진학하면 당장 수학의 내용에서나 시험 문제의 성격 등이 중학교와는 확연하게 다르지요. 또한 성취평가제를 적용하는 중학교에서는 절대적인 기준만 넘으면 A를 받을 수 있지만 상대평가를 겸하고 있는 고등학교에서는 등급과 석차가 짓누르는 압박이 있으니 중간고사 성적에 많이 좌절하기도 하고 정신적 고통이 중학교와는 비교가 안될거예요.
고등학교 수학 성적은 중학교까지의 공부 상태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아요. 중학교까지의 수학 개념, 즉 교과서에 나와 있는 수학 개념의 정의와 성질, 법칙, 정리 등을 완벽하게 소화하지 못하면 고등학교 공부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어요.
원하는 성적이 안 나오면 당장 과외나 사교육을 생각할 수 있어요. 그러니 따님의 마음을 인정하고 공감해주셨음 해요. 여기서 중요한 부분은 사교육을 이용하는가 아닌가란 이분법이 아니예요. 사교육의 이용 여부와 상관없이 중학교까지의 개념정리가 제대로 되어 있는가가 중요한 것이지요. 중학교까지의 개념 정리가 부족한 상태에서는 사교육을 이용한다 해도 큰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지요.
만약 중학교까지의 수학 개념 정리가 잘되어 있다면 코로나 등으로 정규 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중간고사에서 일시적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으니 기말고사를 위한 준비를 좀 더 철저히 해서 대비한다면 회복될 가능성은 얼마든지 있어요.
기말고사 준비를 철저히 한다는 것은 무엇인지 궁금하실거예요.
무엇보다 중간고사에서 아이 스스로 본인이 어떤 부분에서 어려움을 겪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먼저겠지요. 제대로 풀어서 맞은것인지 얼추 맞힌것인지는 아이 본인만 알 수 있어요. 틀린 문제는 왜 틀렸는지 스스로 설명해보는 시간이 필요하겠지요. 개념을 몰라서? 이렇게 적용할 수 있는지 생각을 못해서? 식을 못 세워서? 등등 한 문제를 풀더라도 내가 제대로 알고 풀었는지를 파악하고, 틀렸다면 어디 부분에서 어렵고 이해가 안 되었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해요. 시간이 없다는 마음에 많은 문제를 풀어내서 메꿔보겠다는 생각으로는 제자리돌기만 할 수 있어요.
사교육을 이용하든 안하든 기본을 튼튼하게 다져나간다는 생각으로 공부를 해야 해요. 사교육을 이용하더라도 사교육에 의지하기보다 내가 활용하고 이용한다는 생각으로 주도성을 가져야지요. 또 주변 아이들과 나를 비교하다보면 페이스를 잃기 쉬워요. 어제의 나와 오늘의 나를 비교하면서 나에게 맞는 학습법도 찾아가며 느리더라도 꾸준히 하는 것이 제대로 공부하는 지름길이 되겠지요.
어머님의 교육관과 다르게 아이가 일관성 있게 사교육의 도움을 받겠다 한다면 아이가 사교육을 필요로 하는 이유를 확인해보시고 토의하면서 서로의 의견을 조정해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학부모로서 어머님의 여러 감정과 혼란스러움이 충분히 공감되었어요.
자기 의지가 있는 아이라면 어렵더라도 목표한 바를 성취하는 과정에서 많은 것을 배우리라 생각합니다.
단체에서도 쉼 없이 노력하겠습니다.
★ 상담넷 이용 만족도 조사
다시한번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온라인 상담소를 이용해주심에 감사합니다.
아이 하나를 키우기 위해서는 마을 하나가 필요하다고 하지요. 아이를 키운다는 것은 하나의 큰 우주를 만나는 것이라 생각됩니다. 함께 고민과 걱정을 나누고 서로를 격려하고 위로하며 울타리가 되어 주는 것이 필요한 시대입니다. 더 성장하고 성숙한 상담넷이 되기 위해 조언 부탁드립니다.
https://forms.gle/pN8Ng7MFR4cE383y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