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주 행복하기로 결심했다.

상담넷
2022-06-09
조회수 192

외부감사를 받던 날!

여러 담당자의 업무수행내용을 문서로 제출하고, 그 중 일부를 현장에서 확인 후 평가점수가 매겨지고, 상대평가 순위가 결정되기에 현장실사 당일은 정말 초긴장 상태다.

 

평가받는 입장에서는 열심히 준비했고 나름 잘 준비했다고 생각해도, 평가자의 눈에는 실무자가 생각지 못한 부분의 지적사항이 나온다. 평가기준이 있지만 주관적 해석의 여지가 있어 감점되기도 해서, 담당자의 수행사항을 열심히 대변해야 하고, 부족하다면 담당자를 불러 직접 답변하도록 대면도 시켜야 한다. 억울한 감점을 받지 않도록 애써야 하고, 가능하다면 다음 평가까지 열심히 보완하겠다는 의지를 좋게 평가받아 최소 범위 감점으로 잘 마무리되도록 방어에 최선의 노력을 해야 하는 과정이다. 그렇기에 감사가 끝나면 거의 배터리 방전상태가 되어서 그냥 쓰러져 잠만 자고 싶어진다.

 

그런데 올해 현장실사일에는 조금 다른 부분이 있었다. 기관의 특별한 상황에 대해 반복해서 지적받아 여러 번 같은 내용으로 답변해야 할 때도, 부족한 자료에 대한 보완요청에 여러 번 왔다 갔다 해야 할 때도, 짜증이 나지 않았다. 이상하게도 어떻게 대응하면 더 나을지만 생각했고, ‘내년에는 성장한 모습으로 감사 준비하겠습니다.’ 라는 답변이 다른 감정없이 진심으로 나왔다.

 

왜 안 힘들었을까? 문득 2주전 상황이 떠올랐다. 2주전, 친구가 저녁 식사하자며 언제가 좋으냐고 할 때 ‘현장실사 받는 날’로 정하자고 했다. 그전에는 감사준비로 마음의 여유가 없었고 더 미루기에는 오랜만에 만나는 반가운 벗들과의 자리였기 때문이다.

 

‘7시간 뒤 친구와 저녁모임을 하고 있을 나’를 생각하다가, 6시간 5시간 4시간 이렇게 짧아지는 기다림이 좋아서 감사 대응에 열띤 항변을 하면서도 짜증이 전혀 나지 않았던 것 같다.

 

평가결과 점수를 놓고 ‘아니다. 이점수는 수용할 수 없다.’ 실랑이 할 때도, 2시간 뒤에는 ‘내가 하소연하면 맞장구 쳐줄 친구와 한잔하고 있는 나’를 떠올리면서 괜찮았던 것이다.

그날 저녁 “아~ 진짜 힘들었는데, 오늘 저녁 식사 자리 생각하면서 거뜬했어요.” 했더니 사회생활 멘트 실력이 늘었다고 다같이 웃어 주었다.

 

힘들지 않게 현장실사를 마친 후 기분 좋은 식사까지 끝나고 귀가하면서 불현듯 얼마전 보았던 유튜브 동영상 내용이 떠올라 집 도착하자마자 다시 찾아봤다. 인지심리학자 김경일 교수에게 기자가 “무슨 힘으로 일 하시나요?” 질문하니, “내일 모레 저녁 먹을 막창 2인분?!”이라고 답한 후 친구와의 식사나 수다 자리를 힘든 일정 앞에 미리 계획해 놓으면 터프한 일정도 소화 가능하다는 내용이였다.

 

대단한 뭔가가 있었던 것은 아니었지만 그날 나는 분명 행복감을 느꼈다. 그 저녁 식사일정이 있다는 사실이 하루의 힘든 업무일정을 잘 소화하게 했고, 친구와의 식사자리 자체도 즐거웠다.

 

행복의 크기에 집착하지 않고 빈도를 늘리면 궁극적으로 강해지고 행복한 사람이 되어서, 다음날의 고통을 견딜 수 있다고 하는데, 직접 경험해보니 맞다 싶다.

 

새로운 경험을 통해 ‘행복의 크기’ 보다 소소한 ‘즐거운 감정의 빈도’가 중요함을 알았으니, 이제 남은 것은 실천이다. 이제부터 좋은 사람과 시간을 나누고 마음을 나누는 기회를 자주 갖는 것부터 시작해보리라 결심했다. 친구와도 가족과도 더 더 더! 특히, 힘든 일정을 앞두게 되면 미리 기분 좋은 계획을 잡아보기로 했다.


사단법인 사교육걱정없는세상ㅣ사업자번호 356-82-00194ㅣ공동대표 정지현 홍민정ㅣ이사장 송인수 ㅣ (04382) 서울시 용산구 한강대로 62길 23 유진빌딩 4층

ㅣ문의 02-797-4044 noworry@noworry.kr개인정보처리방침

호스팅제공자 : (주)누구나데이터 | 개인정보보호 관리 책임자 : 김용명 | 팩스 : 02-797-4484

Copyright 사단법인 사교육걱정없는세상. All Right Reserved.


사단법인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사업자번호 356-82-00194 ㅣ 대표 정지현, 홍민정

호스팅제공자 : (주)누구나데이터 | 

개인정보보호 관리 책임자 : 김용명 

| 팩스 : 027974484

|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