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체제] [성명보도] 경기 교육청의 과학고 추가 설립 계획, 즉시 철회하라...(+성명전문)

2025-06-11
조회수 77

모두를 위한 교육인가, 소수를 위한 특권인가? 경기도교육청은 과학고등학교 추가 설립 계획을 즉시 철회하라!

 

경기도교육청이 추진 중인 이른바 경기형 과학고 설립 계획은 교육의 공공성과 형평성을 정면으로 훼손하는 중대한 정책적 오류이다. ‘과학기술 인재 양성이라는 명분을 내세우고 있지만실질적으로는 조기 입시 경쟁과 사교육 확대공교육 내 서열화 구조의 재강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지역특화형 과학고라는 이름은 진로 다양화나 지역 균형 발전의 대안처럼 보이지만실상은 특수목적고 체제의 부활이자 지역 간 경쟁을 부추기는 또 하나의 서열화 전략일 뿐이다특히 일부 지자체와 정치권은 이 정책을 지역 개발과 표심 결집의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으며이 과정에서 교육정책이 정치적 성과를 위한 도구로 전락하고 있다.


과학 인재 양성은 소수 특권층을 위한 학교 설립이 아니라모든 학생이 참여할 수 있는 공교육 기반의 과학 교육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


이에 우리는 경기형 과학고’ 설립 계획이 정치적·정책적·윤리적으로 모두 실패한 기획임을 분명히 밝히며그 전면 철회를 강력히 요구한다아울러 경기도의 모든 학생에게 성장과 기회의 평등을 보장할 수 있는 대안적 공교육 모델의 즉각적인 수립을 촉구한다.


 

■ 경기형 과학고는 조기 사교육을 유발하고 학교의 입시 기관화를 가속화한다.

 

아직 과학고가 개교하기도 전에사교육 시장은 이미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과학고 대비 국영수 선행반’, ‘대상 내신·경시 컨설팅’, ‘과학고 입시 설명회’ 등이 빠르게 확산되며초등학생 단계부터 과학고 진학을 목표로 한 사교육이 현실화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과학 인재 양성이라는 정책의 본래 취지를 퇴색시키고탐구 중심 교육보다는 내신과 수행평가에 최적화된 경쟁 체제로 학생과 교사를 몰아세운다결과적으로 경기도 내 모든 학생과 학부모가 조기 입시 경쟁과 사교육 압력에 노출되며이는 공교육에 대한 신뢰를 훼손하고 교육 격차를 더욱 심화시킬 우려가 크다.


■ 소수를 위한 고비용 특권 교육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는 것은 공공 재정의 왜곡이다.

 

경기형 과학고 설립에는 개교 준비인프라 확충교원 배치기숙사 건립 등 막대한 세금이 투입된다지역별로 수백억 원에서 최대 1천억 원 이상이 소요될 수 있으며이는 사실상 일부 상위권 학생을 위한 전용 시스템에 불과하다.


문제는 이처럼 막대한 예산에도 불구하고과학고가 본래 취지인 이공계 인재 양성을 제대로 실현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실제로 많은 과학고 학생들이 의대에 진학함에 따라과학고가 공공 재정으로 운영되는 의대 진학 대비반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될 정도이다.


이는 외고·자사고가 입시 기관화되어 폐지 논의에 이르렀던 과거와 유사한 양상이다특목고에 대한 과도한 투자에도 불구하고교육의 공공성과 책무는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그 결과 모든 도민의 세금이 소수의 입시 특혜에 집중되는 구조가 지속되고 있으며정작 일반고의 과학중점 교육과정 확대’ 등 공교육 기반 교육 역량 강화는 도외시되는 실정이다.

 

■ 지역 특화 명분으로 포장된 서열화는 교육 불평등을 구조화할 뿐이다.

 

부천은 로봇’, ‘성남은 IT’, ‘이천은 반도체’, ‘시흥은 생명과학이라는 식의 지역 특화 구분은 산업 연계라기보다 입시 전략 차별화를 위한 상징적 구도에 가깝다해당 분야는 이미 수원하이텍고’, ‘성남테크노과학고’, ‘용인반도체마이스터고(예정)’, ‘수원농생명과학고’ 등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 체제를 통해 충분히 운영되고 있다이러한 상황에서 과학고를 추가로 신설하는 것은 명분 없는 중복 투자이자고등학교 체제 내 또 다른 서열을 만드는 정책에 불과하다.

더욱이 이러한 계획은 고교학점제가 지향하는 교육과정 다양성 확보’, ‘진로에 따른 과목 선택권 확대’, ‘학습자의 주체성 존중이라는 철학과도 정면으로 충돌한다여기에 지역 우선 선발’ 주장까지 더해지면교육의 공정성과 보편적 가치마저 훼손될 수밖에 없다그 결과는 학교 간 위계 심화와 지역 간 교육 격차의 고착화로 이어질 것이다.


■ 이에 우리는 다음과 같이 강력히 요구한다.

 

하나경기도교육청은 경기형 과학고 설립 계획을 즉각 철회하라공교육 철학과 형평성에 어긋나는 특권학교 설립은 중단되어야 한다도민과 학생을 더 이상 정책 실험 대상으로 삼지 말라.

 

모든 학생을 위한 과학 교육 기반을 강화하라과학중점학교 확대지역 융합교육과정 운영고교학점제 내실화를 위한 거버넌스 구축 등 보편적 과학교육에 재정을 우선 투입하라.

 

과학 인재 양성은 협력과 공공성에 기반해야 한다과학고 확대는 경쟁적 입시 과열과 공교육에 대한 불신만 초래할 뿐이다지금 멈추고모두를 위한 책임 교육의 방향으로 선회하라.


 

교육은 소수가 아닌 모두를 위한 것이어야 하며과학 인재 양성 또한 공정하고 포용적인 기반 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경기형 과학고는 미래를 향한 교육개혁이 아니라과거로 회귀하는 서열화의 재구성일 뿐이다우리는 경기도 교육이 더 이상 정치와 특권의 도구가 되지 않도록 끝까지 감시하고모든 학생을 위한 책임 교육의 길이 열릴 때까지 행동할 것이다.


2025. 06. 11. 

교육정책디자인연구소 · 경기혁신교육학부모네트워크 · 사교육걱정없는세상삶을가꾸는교육자치포럼 · 성남교육협의회 · 전국교직원노동조합경기지부 · 좋은교사운동경기정책위원회 ·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경기지부 · 평등교육실현을위한경기학부모회

 

※ 문의 정책대안연구소 정책팀장 백병환(02-797-4044내선번호 501)


사교육걱정없는세상
noworry@noworry.kr
서울 용산구 한강대로 62길 23 유진빌딩 4층 02-797-4044
수신거부 Unsubscribe
0 0

사단법인 사교육걱정없는세상ㅣ사업자번호 356-82-00194ㅣ공동대표 신소영 나성훈

ㅣ이사장 송인수 ㅣ (04382) 서울시 용산구 한강대로 62길 23 유진빌딩 4층

ㅣ문의 02-797-4044 noworry@noworry.kr개인정보처리방침

 | 후원계좌정보 우리은행  1005-103-398109 (사교육걱정없는세상)  

호스팅제공자 : (주)누구나데이터 | 개인정보보호 관리 책임자 : 김용명 | 팩스 : 02-797-4484

Copyright 사단법인 사교육걱정없는세상. All Right Reserved.


사단법인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사업자번호 356-82-00194 ㅣ 대표 신소영, 나성훈

호스팅제공자 : (주)누구나데이터 | 

개인정보보호 관리 책임자 : 김용명 

| 팩스 : 027974484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