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아대상 영어학원 ‘P’학원 7세반 교재 분석 결과보도(2017.01.30.)
유아대상 영어학원 7세반 읽기 교재가 중학교 1학년 교과서 수준으로 7년 선행에 해당돼...
▲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이하 사교육걱정)은 유아대상 영어학원의 학습 부담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 유명 프랜차이즈인 P학원의 교재를 입수해 분석함. ▲ P학원의 3년차 7세 교재 1년 치가 총 8종 37권, 면수로는 4,258면에 달해 과다한 양이었으며, 유아에게 지나치게 생소하거나 추상적인 소재가 등장함. ▲ 8종 중, 읽기 교재 6권 읽기 지문의 렉사일 지수(읽기 난이도 지수)는 평균 420L로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 수준(295~381L)보다 높았으며, 어휘수는 1,134개로 초등학교 3~4학년군 어휘수(240개)의 약 4.7배에 달했음. ▲ 읽기 교재의 한 문장 단어수는 약 7.03개로,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 수준(6.61~7.48개)과 비슷하였음. 학습 활동은 영어 질문에 선다형 답을 고르거나 영어 문장으로 서술형 답을 기입하는 형식이 많았음. ▲ 유아기의 지나친 영어 학습은 뇌 발달에도 맞지 않고, 스트레스와 문제행동 야기할 수 있어(김형재, 2011), 유아대상 영어학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함.
반일제 이상 유아대상 영어학원은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처럼 오전부터 하루 3시간 이상 운영하며 영어를 가르치는 학원으로, 흔히 ‘영어유치원’으로 불리고 있지만 ‘유아교육기관’이 아닌 학원법의 적용을 받는 ‘어학원’입니다. 사교육걱정에 따르면 2015년 기준으로 서울에 224곳이 있었고, 하루 평균 교습 시간은 4시간 57분(초등학교 기준 하루 7.4교시), 월 평균 교습비는 약 89만원에 달했습니다.
사교육걱정은 2017년 유아대상 영어학원 입학 설명회에 참관하고, 이 내용을 3차에 걸친 보도자료로 냈습니다. 그런데 입학 설명회에서 확인한 결과, 학원의 교재가 지나치게 양이 많고 어려웠습니다. 이에 국내 유명 프랜차이즈인 P학원의 7세 교재(3년차 1년 치 교재 37권, 2015년 개정판)를 입수해 분석하였습니다. 교재 분석은 (1) 구성, (2) 소재, (3) 어휘, (4) 학습 활동으로 이루어졌으며, (3) 어휘의 경우 ① 렉사일 지수(읽기 난이도 지수), ② 어휘수, ③ 한 문장 단어수로 분석해보았습니다. 분석 결과, 깜짝 놀랄 정도의 양과 난이도임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교재 구성 : 1년 치 교재가 총 8종 37권, 면수로는 4,258면에 달하는 과다한 양...
P학원의 3년차 7세 교재 1년 치 구성을 살펴본 결과, 읽기 교재 6권, literature anthology 3권, Grammar and Writing 6권, Reading and Vocabulary 6권, Activity Plus 2권, Phonics 1권, Me and my world 1권, 전래동화 12권 등 총 37권, 전체 면수는 4,258면에 달하는 과다한 양이었습니다.
[표 1] P학원의 3년차 7세 교재 1년 치 구성
[그림 1] P학원의 3년차 7세 교재 1년 치의 권당 평균 면수 비교
[그림 2] P학원의 3년차 7세 교재 1년 치 구성
■ 교재의 소재 : 자연 현상, 일반교양 등에 편중되어 있으며, 추수감사절의 전통, 근로기준법 등 유아에게 지나치게 생소하거나 추상적인 소재 등장...
P학원의 3년차 7세 읽기 교재 6권의 읽기 지문을 초등학교 영어교육과정의 소재와 비교해보았습니다. 초등학교 영어 교육과정에서는 초등학교 영어 교과목에서 다룰 수 있는 소재를 19개로 제시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P학원의 3년차 7세 읽기 교재 6권의 소재를 분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표 2] P학원의 읽기 교재 6권의 초등학교 영어교육과정 소재별 분류
P학원의 3년차 7세 읽기 교재 6권의 읽기 지문은 ‘동·식물 또는 계절, 날씨 등 자연 현상에 관한 내용’(9개)과 ‘정치, 경제, 역사, 지리, 수학, 과학, 교통, 정보 통신, 우주, 해양, 탐험 등 일반교양 관련 내용’(5개)이 가장 많았습니다. 7세 유아를 대상으로 한 읽기 지문의 소재를 초등 영어교육과정과 비교하는 것이 사실 적합하지 않으나, 초등 영어교육과정과 비교해도 소재가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유아가 학습하기에 지나치게 생소하거나 추상적인 소재가 등장하는 경우가 많았다는 것입니다. 우선, 일상생활에서 접하기 힘든 사물이나 외국 문화 등 생소한 내용이 많았습니다. 유아 대상 공통 교육과정인 누리과정은 ‘유아의 생활 속 경험을 소재’로 하도록 지도하고 있고, 초등 영어교육과정 역시 ‘일상생활과 친숙한 일반적인 화제를 중심으로, 학생들이 관심을 가지고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소재를 선택’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P학원 읽기 교재 중 Rise and Shine 2단원은 미어캣, 11단원은 펭귄, 12단원은 악어를 소개하는 등,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하지 못하는 자연 현상을 소재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Fly High 7단원은 요르트(몽골, 시베리아의 전통 텐트)에 대해 소개하고 있는데, 이 역시 일상 생활에서 접하기 힘든 사물입니다.
또한 Fly High 11단원은 멕시코 이민자 가족의 생일 파티를 소개하면서, empanadas(남미 전통 요리), pinata(미국 내 스페인어권 사회에서 파티 때 눈을 가리고 막대기로 쳐서 넘어뜨리는 통), Latke(감자로 만든 팬케이크) 등의 생소한 남미 전통 문화를 다루고 있습니다. 그리고 Fly High 12단원은 미국 추수감사절과 노동절을 소재로 하고 있는데, 이는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유아에게 지나치게 생소한 내용입니다.
[그림 3] 영어 교재 예시1 : empanadas, pinata, Latke 등 남미 전통에 기반 한 생소한 소재가 등장하고 있다.
[그림 4] 영어 교재 예시2: 미국 추수감사절의 유래에 대한 내용을 서술하고 있다.
또한 유아기는 아직 추상적 사고가 발달하지 않은 시기임에도, 지나치게 추상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Fly High 7단원은 선박을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며, 프레임을 만들고 금속을 녹이고 가장자리를 가열하는 등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서술하고 있습니다. Rise and Shine 4단원은 지도와 지리에 대해 소개하며, 지도 보는 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안내하고 있습니다. 또한 Fly High 12단원은 노동절을 소개하며 노동자를 보호하기 위한 법(근로기준법) 등을 서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유아에게 지나치게 추상적이라 이해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림 5] 영어 교재 예시3: 선박을 만드는 과정을 소개하며, 금속을 녹이고 가장자리를 가열하는 과정을 서술하고 있다.
[그림 6] 영어 교재 예시4: 노동절에 관한 내용을 서술하며, 노동자를 보호하기 위한 법 (근로기준법)에 대해 소개하고 있어 추상적 사고가 발달하지 않은 유아기에 적합하지 않다.
■ 어휘 : 읽기 교재 6권의 렉사일 지수(읽기 난이도 지수)와 어휘수, 한 문장 단어수 모두 중학교 1학년과 같거나 높은 수준으로 밝혀져...
P학원 7세(3년차) 읽기 교재 6권의 읽기 지문을 대상으로, 등장 어휘를 분석해보았습니다. 읽기 지문의 어휘 난이도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으로 ① 렉사일 지수(읽기 난이도 지수)를 산정하였고, ② 어휘수를 산정해 초등 교육과정의 어휘수 기준과 비교하였으며, ③ 한 문장 단어수를 산정하였습니다. 어휘 산정 시 읽기 교재의 읽기 지문과 단원명은 포함하였으나, 사이드 질문과 숫자는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 렉사일 지수(읽기 난이도 지수) : 평균 420L로, 우리나라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 수준(295~381L)보다 높음.
읽기 지문의 난이도를 파악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렉사일 지수를 측정해보았습니다. 렉사일 지수는 개인의 영어독서 능력과 수준에 맞는 도서를 골라 읽을 수 있도록 미국에서 개발된 독서능력 평가지수로, 미국 20개 주에서 사용되며 가장 공신력 있는 지수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권별로 렉사일 지수를 파악한 결과 290L~490L, 6권 전체를 측정해서 평균한 결과 420L이었습니다. 한국의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가 295~381L인 것과 비교하면,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와 비슷하거나 더 어려운 수준이었습니다.
[표 3] P학원 읽기 교재 6권의 렉사일 지수(읽기 난이도 지수) [표 4]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의 렉사일 지수(읽기 난이도 지수) [그림 7] P학원 교재와 중학교 1학년 교과서의 렉사일 지수 비교
□ 어휘수 : 1,134개로 초등학교 3~4학년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어휘수(240개)의 약 4.7배에 달하고, 중학교 1~3학년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총 어휘수(1,250개)와 흡사해...
읽기 교재 6권의 읽기 지문 어휘수를 ① 어휘의 총합, ② 반복을 제외한 어휘의 총합, ③ 초등학교 영어 교육과정의 ‘기본 어휘 관련 지침’에 맞춰 재산정한 어휘의 총합으로 분석해보았습니다. ③의 경우, 초등학교 영어 교육과정의 어휘수 기준과의 비교를 위해, 초등학교 영어 교육과정 ‘기본 어휘 관련 지침’에서 새로운 어휘로 간주하지 않는 ⒜ 변화형과 ⒝ 인명, 지명, 국가명 등 고유 명사, ⒞ 기수, 서수, ⒟ 로마자화된 우리말 단어, ⒠ 생활 주변에서 흔히 사용하는 외래어 78개를 읽기 지문에서 삭제했습니다.
분석 결과, 6권에서 사용된 단어의 총합은 11,427개, 반복을 제외하면 1,794개였습니다. 또한 초등학교 영어 교육과정 어휘수 기준에 맞춘 분석 결과, 1,134개로 초등학교 3~4학년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어휘수의 약 4.7배에 해당하며, 중학교 1~3학년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총 어휘수(1,250개)에 흡사한 수준이었습니다.
[표 5] P학원 읽기 교재 6권의 총 어휘수 * ‘초등 영어 교육과정 어휘수 기준에 맞춘 분석 결과’는 ⒜ 변화형과 ⒝ 인명, 지명, 국가명 등 고유 명사, ⒞ 기수, 서수, ⒟ 로마자화된 우리말 단어, ⒠ 생활 주변에서 흔히 사용하는 외래어 78개를 어휘수에서 삭제한 결과임 * ‘총’은 1~6권의 평균이 아닌, 6권 전체 어휘를 대상으로 산정한 결과임
[표 6] 영어 교육과정의 각 학년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어휘수 기준
[그림 8] P학원 교재 어휘수와 각 학년군 어휘수 비교
□ 한 문장 단어수 : 7세 읽기 교재의 한 문장 단어수가 약 7.03개로, 중학교 1학년 교과서 수준(6.61~7.48개)과 비슷함.
한 문장 단어수는 난이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읽기 교재 6권 읽기 지문의 한 문장 단어수를 측정한 결과, 평균 7.03개였으며, Fly High Unit 3의 경우 한 문장 단어수가 평균 7.90개에 이르렀습니다. 현행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의 한 문장 단어수가 평균 6.61~7.48개임과 비교할 때, 중학교 1학년 수준에 달했습니다. 또한 초등학교 영어 교육과정에서 한 문장 단어수를 초등학교 3~4학년군의 경우 7개 이내로, 5~6학년군의 경우 9개 이내로 한정하고 있는 것과 비교해도 과다한 수준이었습니다. (초등학교 영어 교육과정은 단일 문장의 길이를 파악할 때 and, or, because를 사용하는 경우는 예외로 해 단일 비교는 어려움)
[표 7] P학원 읽기 교재의 한 문장 단어수
[표 8]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 한 문장 단어수
[표 9] 초등학교 영어 교육과정의 단일 문장의 길이 기준
[그림 9] P학원 교재와 중학교 1학년 교과서의 한 문장 단어수 비교
■ 학습 활동: 영어 질문에 선다형 답을 고르거나, 영어 문장으로 서술형 답을 기입하는 형식이 많아...
읽기 교재는 읽기 지문을 제외하고 Vocabulary나 읽기 후 활동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영어 질문에 선다형 답을 고르거나 영어 문장으로 서술형 답을 기입하는 형식이 많았습니다. 또한 Grammar and Writing 6권과 Reading and Vocabulary 6권은 읽기 교재의 읽기 지문을 바탕으로 문제를 푸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문제 역시 영어 질문에 선다형 답을 고르거나 영어 문장으로 서술형 답을 기입하는 형식이었습니다.
이는 누리과정(유치원·어린이집 공통 교육과정)에서 유아의 발달 단계를 고려해 외국어는 물론, 한글의 문자 교육조차 하지 않는 것과는 괴리가 큽니다. 누리과정의 ‘의사소통’ 영역에 듣기·말하기·읽기·쓰기 내용 범주가 있으나, 이는 ‘주변에서 친숙한 글자를 찾아 읽어 본다’, ‘말이나 생각을 글로 나타낼 수 있음을 안다’ (만 5세) 등 한글에 흥미를 갖도록 하는 것에 그치고 있습니다.
[그림 10] 읽기 교재의 읽기 전 활동지 (좌) / 읽기 후 활동지 (우) : 질문에 영어로 서술형, 단답형 답을 제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 유아기의 지나친 영어학습은 뇌 발달에도 맞지 않고,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을 야기할 수 있어(김형재, 2011), 유아대상 영어학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함.
사교육걱정은 유아대상 영어학원 교재의 난이도를 파악하기 위해, 유아대상 영어학원 프랜차이즈로 유명한 P학원의 7세 교재(3년차)를 분석하였습니다. 분석 결과, 교재가 총 8종 37권에 달했고, 면수로는 4,258면에 달해 과다한 양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소재는 자연 현상에 관한 내용(9개)과 일반교양 관련 내용(5개)이 가장 많았으나, 유아기에 적합하지 않은 생소하거나 추상적인 소재가 많았습니다. 읽기 교재 6권의 읽기 지문에 한정해 어휘를 파악한 결과, 읽기 난이도 지수는 평균 420L로 현행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 수준(295~381L)보다 높았습니다. 어휘수는 1,134개(초등학교 영어 교육과정 ‘기본 어휘 관련 지침’에 맞춰 산정한 결과)로 중학교 1~3학년군에서 사용할 수 있는 총 어휘수(1,250개)와 흡사했고, 초등학교 3~4학년군(240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어휘수의 약 4.7배였습니다. 한 문장 단어수는 평균 7.03개로 현행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 수준(6.61~7.48개)이었습니다. 학습 활동은 영어 질문에 선다형 답을 고르거나, 영어 문장으로 서술형 답을 기입하는 형식이 많았습니다.
결국 유아대상 영어학원의 7세 교재는 중학교 1학년 수준의 난이도로, 개념적 조작 능력이 충분히 발달하지 못한(전조작기) 유아의 인지발달 수준에 맞지 않습니다. 또한 기본생활습관과 바른 인성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하는 유아기 발달 목표에도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유아 발달단계에 맞는 교육을 한다.’, ‘아이들이 놀이를 통해 즐겁게 영어를 배운다.’고 유아대상 영어학원에서 주장하는 바와 대치되었습니다.
만 3-6세의 유아기는 종합적 사고와 인간성, 도덕성 기능을 담당하는 전두엽이 발달하는 시기입니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인성과 도덕성, 집중력, 동기 부여 등을 중심으로 교육해야 하는데, 이 시기에 만 6-12세에 발달하는 측두엽의 기능인 영어 교육에 과도한 노력을 기울이면 여러 부작용을 낳을 수 있습니다. (우남희, 2002) 유아대상 영어학원의 과도한 학습 부담으로 인한 문제에 대해서는 여러 연구에서 지적한 바 있는데, 김형재(2011)의 연구에서는 전일제 유아대상 영어학원에 다니는 유아의 스트레스와 문제 행동이 시간제 영어학원에 다니는 유아보다 높음을 지적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사교육걱정의 조사 결과, 소아정신과 전문의의 60%가 유아대상 영어학원을 영유아 발달에 적합하지 않다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사교육걱정은 유아 발달 단계에 맞지 않고 지나친 학습 부담을 야기하는 유아대상 영어학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민운동을 진행하며, 유아대상 영어학원을 비롯한 조기영어교육의 실태와 효과성을 분석하여 사회적으로 알리는 작업을 계속할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 바랍니다.
2017. 1. 30. 사교육걱정없는세상
(공동대표 송인수, 윤지희)
|
▲ P학원의 3년차 7세 교재 1년 치가 총 8종 37권, 면수로는 4,258면에 달해 과다한 양이었으며, 유아에게 지나치게 생소하거나 추상적인 소재가 등장함.
▲ 8종 중, 읽기 교재 6권 읽기 지문의 렉사일 지수(읽기 난이도 지수)는 평균 420L로 중학교 1학년 영어교과서 수준(295~381L)보다 높았으며, 어휘수는 1,134개로 초등학교 3~4학년군 어휘수(240개)의 약 4.7배에 달했음.
▲ 읽기 교재의 한 문장 단어수는 약 7.03개로, 중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 수준(6.61~7.48개)과 비슷하였음. 학습 활동은 영어 질문에 선다형 답을 고르거나 영어 문장으로 서술형 답을 기입하는 형식이 많았음.
▲ 유아기의 지나친 영어 학습은 뇌 발달에도 맞지 않고, 스트레스와 문제행동 야기할 수 있어(김형재, 2011), 유아대상 영어학원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이 시급함.
보도자료(PDF)